반응형
자바스크립트 데이터타입
데이터는 변수에 값을 넣을때 등등 어떠한 값을 의미한다. num=2; 에서 2가 데이터이다.
자바스크립트는 데이터 타입이 동적 타입이다.
C언어나 Java 언어는 데이터에 따라서 타입을 다르게 지정해줘야 하는 반면에 자바스크립트는 자유롭게 지정이된다.
정수,문자열 같은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대입이 가능하다.
실행할때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 타입을 동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특징이있다.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타입 1) 원시타입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타입은 총 두가지로 나뉘어지는데 그중하나는 원시타입이다.
원시타입은 숫자,문자열,논리값,특수한값(null,undefined),심볼 을 지칭한다.
여기서 자바스크립트는 숫자를 모두 64비트 부동소수점으로 표현한다는것도 기억하고 가자.
java,c에서 double타입이라고 하는것과 비슷하다.
그리고 심볼은 자기자신을 제외한 그 어떤 값과도 다른 유일무이한 값이라고한다. es6에 추가된것으로 안다. 만약에 Symbol(); 이렇게 명령하여 생성하였는데
다음에 또 Symbol(); 을 실행하면 이 둘은 다른 심볼값이다. 유일무이한 값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괄호안에 인수를 전달하면 그것은 생성된 심볼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는 것이다.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타입 2)객체 타입
객체란 무엇일까?
객체는 이름과 값을 한쌍으로 묶은 데이터를 여러개 모은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객체는 프로퍼티(property)를 가지고 있는데 프로퍼티는 객체에 포함된 데이터 하나를 의미한다.
(이름과 값의 묶음)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은 총 두가지로 나뉘어진다.
객체 생성법 1) 객체 리터럴을 사용하는 방법
객체 생성법 2) 생성자라는 함수사용방법
이 둘의 내용은 다른 게시물에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반응형
'코딩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만으로 아이폰 스톱워치 구현하기 1 (2) | 2020.04.30 |
---|---|
javascript 객체는 도대체 무엇일까? (0) | 2020.04.30 |
javascript 프로그램 실행시간 알아내는 방법 (0) | 2020.04.29 |
javascript 스톱워치 구현 (0) | 2020.04.23 |
javascript는 어디에 작성하는가? (0) | 2019.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