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의 매달 교통비는 약 14만원 정도가 나옵니다. ( 대중교통을 너무 이용함 )

 

이번에 서울시에서 기후동행카드라는 것을 사용하면 단돈 6만 5천원에 한달간 '지하철,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해서 나오기만을 목빠지게 기다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세한 안내는 없고 지하철에 광고만 나와 있어서 답답해서 전화해서 물어봤습니다.

 

판매기간 + 사업기간

사업은 1월 27일 토요일에 전격 오픈이 됩니다.

이번에는 시범사업이기 때문엥 2024년도 6월 30일 이면 사업이 종료되니 잘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이용방법

1. 티머니 GO 어플에서 모바일 카드를 사용 후 충전 후 사용

2. 지하철 역내에서 실물 카드 (3,000원) 구매 후 충전 후 사용

 

저는 아이폰이라 지하철 역무원에게 가서 살 것 같습니다. ㅎㅎ 

 

실물카드를 구입하는 경우에는 조금 복잡합니다. 

우선, 지하철 근처 편의점이나 역무원에게 가서 '실물카드 구입'을 합니다.

그리고나서 티머니 카드 & 페이 홈페이지 등록 절차를 마치고 나서! 무인충전기에서 충전을 하는 시스템입니다.

 

좀 복잡하지만, 아이폰이라서 어쩔 수 없죠 ㅠㅠ 

 

이용할 수 있는 범위

우선, 서울 지역 전부 다 가능합니다. 서울지역 지하철, 서울시 시내 마을 버스, 따릉이 전부 가능합니다.

 

그러면 만약에 제가 안산에 갈 일이 있어서 '고려대 -> 안산' 으로 간다면 어떨까요?

 

이런 경우 원래는 지하철 정기권을 이용하면 하차할 때 -2회가 차감되면서 내릴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기후동행카드는 안산에서 찍을 수 없고, 역무원에게 직접 요금을 내야한다고 합니다 ;;  ( 무제한이라 그런가봐요 ㅠ )

 

지하철 세부 노선에 대해서는 아래에 적어두겠습니다.

 

  • (1호선) 온수/금천구청~도봉산
  • (3호선) 지축~오금
  • (5호선) 방화~강일/마천
  • (7호선) 온수~장암
  • (9호선) 전구간
  • (신림선) 전구간
  • (경의중앙선) 수색~양원/서울역
  • (수인분당선) 청량리~복정
  • (2호선) 전구간
  • (4호선) 남태령~당고개
  • (6호선) 전구간
  • (8호선) 전구간
  • (우이신설선) 전구간
  • (공항철도) 김포공항~서울역
  • (경춘선) 청량리/광운대~신내

 

 

환불을 원한다면?

기후동행카드는 환불도 가능입니다.

사용기간 만료 전에 사용잔액 환불을 원한다면 환불이 가능합니다.

카드 충전금 - 대중교통 실 사용액 - 수수료 500원을 통해 환불이 가능합니다.

 

거의 티머니 교통카드 환불하는 방식이랑 똑같네요 ㅎㅎ 

반응형
반응형

저는 작년 2023년도에 서울특별시에서 주관하는 청년월세 지원사업에 당첨이 되었습니다.

 

제 월세는 40만원인데, 매달 20만원을 준다고 하여서 이번 1년간은 월세가 20만원만 나가서 너무 좋습니다 ㅎㅎ

8개월간 월세지원을 받으면서 궁금했던 것과 그에 대한 답변을 하고자 합니다.

 

출처: 서울주거포털

돈 지급은 어떻게?

저는 처음에는 돈을 매달 주는 것 또는 월세 자체가 20만원 줄어드는 것인줄 알았어요.

하지만, 돈 지급은 5개월에 한번, 3개월에 한번 이런 식으로 한번에 들어오더라고요.

 

제가 처음 되었을 때만 해도 4월달이었는데, 4월달에 돈이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8월달에 4,5,6,7,8 월을 계산해서

100만원이 한번에 들어오더라고요 ㅎㅎ

 

2023년 12월에는 9,10,11 3개월치가 한번에 들어와서 60만원이 들어왔습니다.

 

꽁돈이 들어온 느낌이라 아주 좋았습니다.

본인 계좌 사용가능?

저는 카카오뱅크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계좌를 그것을 입력하려고 했어요. 하지만, 계좌를 강제적으로 개설해야되더군요 ㅠㅠ

 

신한은행에 있는 '신한 청년 DREAM 통장'을 만들어야 했습니다.

새로운 통장을 만들다보니, 한도계좌로  만들어져서 100만원이 들어왔음에도 하루에 30만원만 인출이 가능해서 조금은 답답한 면이 있었습니다 ㅠㅠ

 

고시원, 원룸, 무보증 가능?

저는 원룸이지만, 제2 근린생활시설이었어요. 주택시설이 아니었죠.

그런데도 저는 이 사업에 당첨이 되었어요!

 

제가 서류 접수할 당시에 전화를 많이 해서 물어봤었는데

고시원, 원룸, 무보증월세 등 대부분이 가능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형태로 살던 서울에만 주거 등록이 되어있다면 신청자격은 주어지는 것 같습니다.

 

준비할 서류 많음?

아니요. 저는 거의 없었어요.

1. 임대차 계약서

2. 이체확인증 ( 3개월간의 이체확인증이 필요했습니다. )

 

나머지는 간단한 서류들만 있었어요.

그리고 당시에 저는 소득이 작았기 때문에 신청이 가능했는데 이번 2024년에는 어떤 소득 기준을 잡고 있는지 한번 볼까요?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제외자입니다.

 

서울시 청년월세지원사업 제외 대상 기준

  • 국토교통부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금 수급중이거나 수급이력이 있는 사람
  • 서울시 청년월세지원금 기 선정자로 수급 이력이 있는 사람
  • (신청자 본인) 주택 소유자, 분양권 또는 조합원 입주권이 있는 사람
  • (신청자 본인) 일반재산 총액 1억원을 초과하는 사람
  • (신청자 본인) 차량시가표준액 2,500만원 이상의 자동차를 소유한 사람
  • 국민기초생활수급을 받고 있는 사람(생계, 의료, 주거급여 대상자)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중 ‘교육급여’ 대상자는 신청 가능
  • 서울시 청년수당을 받고 있는 사람, 은평형 청년월세지원자로 선정된 사람
    ※‘사업 신청일’기준, 청년수당 수급 등 종료된 경우 신청 가능
  • 행복주택, 전세임대주택, 매입임대주택, 역세권 청년주택, 도시형생활주택, 사회적주택, 희망하우징, 공무원임대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사람
    ※ 역세권 청년주택, 사회주택 등 민간임대주택 거주자는 신청 가능
  • 임대인(임차건물 집주인)이 신청인의‘부모’인 경우
  • 공동임차인 모두 신청하는 경우
  • 기타 사업 취지에 부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1년에 몇 번 모집함?

저는 1차 모집일정에 지원을 했는데, 그 이후로도 총 2번 정도 더 모집을 한것으로 알고 있어요.

그리고 추가지원도 받으니 만약 탈락하셨더라도 종종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사업공고를 살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알림 신청 가능?

매번 지원사업의 공고를 확인하는 것이 귀찮다면  신청 안내 메일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서울시 대표 누리집에서 '청년월세신청안내' 메일 알림이 설정 가능합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서울시 대표 누리집 로그인  -> 나의 서울 클릭

2. 회원정보 변경 페이지로 이동해서 비밀번호 한번 더 입력 후 확인 버튼 클릭하기

3. 회원 정보 변경 페이지 -> 행사강좌 등 정보 서비스 이용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 이용 항목 내 '청년월세신청안내' 선택 후 저장

 

물론 이렇게 해도 전산상의 오류로 알림이 안올 수 있으니, 생각이 난다면 한번 쯤은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를 확인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홈페이지 링크를 아래에 걸어둘테니 확인해주세요.

https://housing.seoul.go.kr/site/main/content/sh01_060513#n

반응형
반응형

내가 받을수 있는 지원사업이 무엇이 있는지 몰라서 신청기간을 놓치신 적이 있나요? 아니면 신청하려고 할 때마다 무엇을 신청해야 자격요건에 해당하는지 모르신 적이 있나요?

그런 귀차니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서비스가 있어서 소개드리고자 글을 씁니다!!

 

복지로 맞춤형급여안내(복지멤버십)

복지수급을 희망하는 개인이나 가구의 연령, 가구구성, 경제 상황을 기준으로 받을 수 있는 복지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찾아서 안내해주는 제도입니다. (물론 신청은 따로 해야하지만, 그래도 신청기간이 지나고 나서 발견하는 것보다 훨씬 낫겠죠??)

 

아 이거 유료 아니야? 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무료' 라는 점 ㅎㅎㅎ

지금 현재 안내 대상 복지사업이 74개로 되어있는데 점차 확대해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가입 방법

복지로

 

tbu/app/main/Main

 

www.bokjiro.go.kr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로그인  + 가입 신청을 하면 됩니다

복지로메인홈페이지

맞춤형 급여안내 클릭!

신청하는 사진

총 2가지의 신청 절차만 거치면 신청 완료!

 

이제 앞으로 74개 정도의 지원사업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않고 제가 자격요건이 된다면 알림이 올 것이니, 마음 편히 있을 수 있겠네요 ㅎㅎ 

여러분도 혹시 모르니까 놓치는 일이 없도록 신청햇으면 좋겠어요!

반응형
반응형

서울에 자취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꼭 읽어봐야할 꿀팁! 1년간 매월 20만원 월세를 줄여보아요!

저는 서울에서 주관하는 청년월세지원에 4월달에 1차모집에 신청해서 현재 합격을 받고 돈을 받기를 기다리는 중이에요!! 이번에 2차 모집을 한다고 해서 많은 사람들이 지원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글을 남깁니다.

 

지원 기간

2023.09.05 화 ~  2023.09.18 18:00 마감

만약에 이 글을 읽는 시점에서 마감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아래 링크를 통해서 새로운 정책이 공지되었는지 확인해보세요!

(https://housing.seoul.go.kr/site/main/home)

지원 내용

최대 12개월간 월 20만원 월세지원 (생애 1회)

만약 월세가 20만원 미만이라면? -> 그래도 지원이 됩니다! 17만원이라면 17만원에 대해서 12개월간 지급이 됩니다.

지원 자격

가장 중요한 지원 자격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히 읽어서 자신이 해당하는 대상인지 아닌지 꼭꼭! 확인하고 대상이 맞다면 바로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ㅎㅎ 

 

  •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등본상 서울시에 거주 ( 주소 이전을 했어야만 하겠죠 ~? )
  • 주민등록등본상 서울시에 거주하고 신청연도 기준 만 19세 ~ 만39세 청년 (네이버에 만나이 계산기를 활용해요)
  • 보증금 5천만원 이하 , 월세 60만원이하  2가지 조건을 만족하며, 월세로 거주하는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청년 1인가구 (중위소득에 대한 것은 아래에 표로 따로 만들어두겠습니다)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이란 나라에서 돈을 제일 잘 버는 사람을 1등으로 놓고 돈을 제일 못 버는 사람을 꼴등으로 놓은 가운데 중간에 위치한 사람의 소득을 나타냅니다 (중간값)

 

전국민이 100명이라고 가정했을때 소득을 기준으로 줄을 세웠을 때 50등에 해당하는 사람의 소득을 말해요!

저 위에 나온 중위소득의 150%이하 라는 말은 50등에 해당하는 사람의 소득의 1.5배 보다 낮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래 표를 보고 자신의 소득구간이 어느정도인지 확인해주세요 (2023년 기준입니다)

 

반응형

출처: 보건복지부

자 그러면 자신이 1인가구, 2인가구인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편하게 보시라고 제가 아래에 150%에 대한 소득을 표로 만들어둘게요!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중위소득 150% 3,116,838 5,184,233 6,652,224 8,101,446 9,496,032 10,841,972

이것보다 자신의 소득이 아래라면 지원 자격에 해당하는 것이니 꼭꼭 지원하세요!!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2차모집 선정 기준 

지원 자격을 갖추더라도 선정이 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번 서울시 청년월세지원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나눕니다. 저는 실업급여를 받는 중이라 소득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실업급여 또한 소득으로 잡혀서 중위소득 120% 이하에 잡히게 되었습니다 ㅎㅎ 

  • 보증금과 월세가 작은가?
  • 소득이 낮은가?

이 2가지를 이용해서 선정인원을 따로 따로 배치해두었습니다. 아래 표를 보고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구간 임차보증금 및 월세액 소득기준 선정인원(명)
1 임차보증금 5백만원 이하이고, 월세 40만원 이하 중위소득 120%이하 1,575
2 임차보증금 1천만원 이하이고, 월세 50만원 이하 중위소득 120% 이하 1,050
3 임차보증금 2천만원 이하이고, 월세 60만원 이하 중위소득 120% 이하 525
4 임차보증금 5천만원 이하이고, 월세 60만원 이하 중위소득 150% 이하 350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이고" 라는 조건입니다. 보증금이 5백만원이하 이면서 월세도 40만원 이하인 사람이라는 뜻으로 2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만 합니다!!

 

여기에서 중위소득 120%에 해당하는 가격은 또 얼마야? 하실 수 있어서 아래에 표로 정리해둘게요!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중위소득 120% 2,493,470 4,147,386 5,321,779 6,481,157 7,596,826 8,673,577

신청 방법 및 준비물

준비물

  • 확정일자가 날인된 임대차계약서 전체 사본 1부 (필수)
  • 이체 확인증 신청일 기준 최근 3개월간 월세 이체 내역 (필수), -> 제출하기 어려운 경우 보증금 잔금 이체내역,또는 1개월분이라도 제출
  • 가족관계증명서(상세증명서) 필수! - 2023.09.05 이후에 발급 받은 거여야 합니다.

제가 신청할 당시에는 임대차 계약서 사본 1매 + 신분증 사본 1매 + 3개월간의 월세 이체 기록이 필요했습니다.

 

 

이 사이트를 클릭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신청자격 확인 | 청년월세지원 | 청년·신혼부부 지원 | 주거 정책 | 서울주거포털

서울주거포털,신청자격 확인 제출서류;관련기관 안내 신청제외대상자 국토교통부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금 수급중이거나 수급이력이 있는 사람 서울시 청년월세지원금 기 선정자로 수급 이

housing.seoul.go.kr

 

해당 사이트에 가서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다들 청년월세지원에 선정되어서 1년간 20만원씩 월세를 절감하는 혜택을 누리셨으면 좋겠네요 ㅎㅎ

저는 4월에 신청을 해서 아마도 9월 말 쯤에 4~8월 분을 한꺼번에 받게 될 것 같은데 그 때 또 포스팅하러 올게요!! 

 

 

반응형

+ Recent posts